안녕하세요. 오늘은 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일 학교로, 직장으로, 일터로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는 경우 매달 교통비가 지출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가뜩이나 최근 물가상승의 영향으로 지하철, 버스 요금은 물론 택시비 기본요금까지 상승하고 있습니다. 대중교통 요금 인상의 경우 4월부터 시행 예고되었지만 전기요금, 가스요금 인상 보류에 이어 대중교통 요금 인상 또한 보류되었습니다. 하지만 만성적인 적자를 겪고 있는 데다가 여러 요인으로 인한 물가상승과 그로 인한 원가상승 및 적자폭 상승 압박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언제까지나 요금 인상을 외면할 수 없을 것입니다.
🚋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는 최대 30%까지 교통비를 절감해주는 알뜰교통카드입니다. 앱 마일리지 적립으로 20% + 알뜰교통카드 혜택으로 10% 까지 절약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도보 또는 자전거로 이동하는 최대 800m까지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니 건강도 챙기고 환경도 지키고 지갑도 지킬 수 있는 꿀템입니다.
✔ 월 15회 이상 최대 44회 이용분 마일리지 적립
45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액이 높은 순으로 44회까지 익월(익익월) 지급됩니다. 월 15회 미만 사용 시 마일리지는 소멸됩니다. 첫 달은 횟수와 무관하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소지 검증 정상인 경우에만 지급)
✔ 보행, 자전거 이동 시 최대 800m 까지 차등 적립
노선버스: 마을버스, 시내버스, 광역버스(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
도시철도: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경전철 포함)
여객철도: 광역철도(KTX, 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 철도 제외)
(이동거리에는 환승 과정의 이동거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기본 마일리지 적립액
✔ 마일리지 추가 적립
저소득층은 2배 이상 마일리지를 추가 적립해주고,적립해 주고, 청년층에게는 100원~200원 추가 적립해 주고, 미세먼지주의보 발령일 및 환경 관련 기념일에는 마일리지가 2배 적립해 준다고 합니다.
올해 환경관련 기념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1. 23.03.22 물의 날
2. 23.04.05 식목일
3. 23.04.22 지구의 날
4. 23.05.31 바다의 날
5. 23.06.05 환경의 날
6. 23.09 07 푸른 하늘의 날
7. 23.11.11일 보행자의 날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방법
알뜰교통카드 어플을 다운받은 후 출발하기 전 "출발하기", "도착하기" 버튼을 눌러서 거리를 산정하게 됩니다. 즐겨찾기를 등록해 두면 휴대폰 내 위치서비스를 통해 출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마일리지가 자동으로 적립된다고 합니다. 처음 등록만 해두면 신경 쓰지 않아도 마일리지가 자동으로 쌓인다는 점이 매우 편한 것 같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비교하기
알뜰교통카드를 발급을 받아 어플에 등록을 해야 적립이 가능한데 홈페이지에서 보면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모바일 캐시비 등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이 카드의 목적은 교통비 할인이기 때문에 최소 실적으로 얼마큼 혜택 받을 수 있을지를 중점적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알뜰교통 신한카드 연회비 비자 15,000원, 유니온페이 12,000원 전월실적 30만원 충족 시 10% 할인, 할인한도 1만원 택시, 편의점, 병원, 약국, 3대마트, 커피전문점 10% 할인 전기차 충전요금 30% 할인 |
![]() |
알뜰교통 신한카드 체크 연회비 없음 전월실적 20만원 충족 시 통합캐시백 한도 5천원(대중교통 캐시백 2천원) |
![]() |
우리카드 알뜰교통카드(신용) 연회비 비자 13,000원, 마스터카드 15,000원 전월실적 30만원 충족 시 10% 할인, 할인한도 1만원 |
![]() |
우리카드 알뜰교통카드(cookie check) 연회비 없음 전월실적 20만원 이상 월간 캐시백 한도 1만원 버스, 지하철 합산 이용금액 5만원 이상 시 3천원 캐시백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1만원 결제 시 1천원 캐시백 11번가, G마켓, 쿠팡 2만원 이상 결제 시 2천원 캐시백 편의점, 올리브영 1만원 이상 결제 시 1천원 캐시백 스타벅스 1만원 이상 결제 시 2천원 캐시백 |
![]() |
하나카드 알뜰교통 my pass 마패 신용카드 연회비 마스터카드 17,000원 전월실적 50만원 충족 시 대중교통 할인한도 15,000원 |
![]() |
알뜰교통 비바e 플래티늄 체크카드 연회비 없음 전월실적 25만원 충족 시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15% 캐시백 (월 3만원 이상 이용시 최대 5천원) |
![]() |
모바일 캐시비 핸드폰 NFC방식으로 실물카드 없이 사용(아이폰 불가능) 선불 충전형(수수료 3.5%) 전월실적 없음 |
![]() |
이렇게 비교해보니 알뜰교통카드에서 카드 자체의 혜택은 크게 기대하지 않고 앱 마일리지 적립금 환급에 의의를 두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그 와중에 추천을 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모바일 캐시비 : 베스트! (아이폰 유저 제외)
✔ 우리카드 알뜰교통카드 체크카드 : 아이폰 유저 및 실물카드 원하는 사람에게 추천!
모바일 캐시비는 일단 전월실적 없이 현금으로 충전해서 사용하다 보니 전월실적 채우기 위한 필요 없는 소비를 할 필요가 없어서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NPC방식이기 때문에 갤럭시 유저에게는 좋지만 아이폰 유저에게는 꿈같은 일ㅎㅎ.. 그래서 저는 우리 카드 알뜰교통카드 체크카드를 발급받고자 합니다. 전월실적 20만 원만 채우면 되는데 교통비로 7만 원은 기본적으로 사용가능하니 13만 원만 추가로 쓰면 됩니다. 대중교통 캐시백으로 3천 원은 기본적으로 받고 추가로 캐시백 받을 수 있는 곳도 평소에 많이 가는 편의점, 간편 결제, 온라인 쇼핑몰, 스타벅스 등이라 월 1만 원 캐시백도 충분히 가능해 보입니다.
🚋 알뜰교통카드 환급액 계산 : 26% 절약 가능!
저는 만 34세 이하의 청년층이고 출퇴근마다 편도 1,450원씩 소비하고 있습니다. 하루에 2,900원이고 한달 20일 출근 및 주말 하루정도 더 쓴다고 생각하면 2,900원 x 24일 = 69,600원, 약 7만 원은 기본적으로 나간다고 봅니다.
앱 마일리지 | 카드 혜택 |
대중교통요금 2천원 이하 사용 : 350원 하루 2회 x 24일 = 48번 (최대 44번) 350원 x 44번 = 15,400원 |
우리카드 체크카드 기준 캐시백 3,000원 |
총 18,400원 |
한달에 총 18,400원이면 총 교통비 대비 대략 26% 절약할 수 있습니다. 보통 카드 혜택 중 교통비는 10~20% 할인 정도인데 그 이상이니 매우 좋은 혜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여기서 하반기 지하철 기본요금 300원 인상이 예정되어 있는 바, 고정지출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싶다면 알뜰교통카드 안 쓸 수가 없겠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삼성페이 등록 가능
4월 1일부터 알뜰교통카드 실물카드가 삼성페이에 등록이 가능해져서 모바일캐시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핸드폰으로 쓱 태그 하면 되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갤럭시 유저들에게는 아주 희소식이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알뜰교통카드 사용을 통해 슬기로운 소비생활 되시길 바랍니다.
'슬기로운 소비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릭요거트 만들기 : 베어그릭스 꾸덕메이커 유청분리기 후기(내돈내산) (0) | 2023.06.11 |
---|---|
굿윌스토어 기부 후기 : 안 입는 옷 기부하고 연말정산 세액공제 & 기부금 영수증 챙기세요! (0) | 2023.04.05 |
중고폰 팔기 : 민팃(중고폰 ATM) 이용 후기 (0) | 2023.02.16 |
우리집 주변 붕어빵 찾기 “가슴 속 3천원” 앱 리뷰(붕어빵, 계란빵, 타꼬야끼 러버들 주목) (0) | 2023.02.07 |
해피문데이 탐폰 체험팩 사용 후기(내돈내산) (0) | 2023.02.04 |
댓글